찬 공기에 새벽 이슬이 맺히는 계절, 여러분은 가을의 진짜 얼굴을 마주하고 계신가요?
2025년 10월 8일, 한 해의 절기를 잇는 24절기 중 17번째, 바로 ‘한로(寒露)’가 다가옵니다.
이 날은 ‘찬 이슬’이라는 이름처럼 가을이 본격적으로 깊어지는 시작점이자, 계절의 무게가 실리는 시기입니다.
자연은 왜 이 시점에 변화를 예고할까요?
그리고 우리 조상들은 이 날을 어떻게 맞이했을까요?
한로의 정확한 의미부터 기후 변화, 전통 풍습, 그리고 한로에 꼭 챙겨야 할 제철 음식까지—
지금부터 한로라는 절기의 모든 것을 깊이 있게 알아보세요.
올해 가을, 자연과 더 가까워지는 특별한 계절 경험이 될지도 모릅니다.

한로: 가을의 깊이를 알리는 절기
태양의 황경이 195도에 도달할 때 시작되는 한로는 천문학적으로 본격적인 가을의 중반부로 진입하는 시점입니다. 이 무렵부터 기온이 부쩍 내려가고, 아침저녁으로 이슬이 맺히며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죠.
한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를 지나 서리가 내리는 상강(霜降)으로 가는 중간 단계입니다. 계절의 징표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때이며, 다가올 겨울을 준비하는 자연의 신호탄이기도 합니다.
한로(寒露)의 뜻과 유래: 차가운 이슬이 맺히다
'한로'는 한자로 寒(찰 한)과 露(이슬 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 그대로 '찬 이슬'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농경사회에서는 자연의 변화가 생존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이처럼 계절의 변화를 민감하게 기록하고 활용했죠.
한로는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백로(白露)**의 다음 절기로, 백로와는 달리 공기가 더욱 차가워지면서 이슬마저도 찬 기운을 띠는 때입니다. 이 절기는 기온의 급강하와 커지는 일교차로 인해 사람들의 건강 관리와 의복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절기상 한로의 기후 특징: 황금빛 가을 풍경
한로 시기에는 대체로 아침저녁으로 쌀쌀하고 낮에는 따뜻한 전형적인 가을 날씨를 보입니다. 특히 내륙 지방은 일교차가 매우 크며, 고도가 높은 지역은 이슬이 아닌 서리가 내리기도 합니다.
이 절기는 단풍이 절정을 향해 물드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산에서는 붉은 단풍이 내려오고, 들판은 황금빛으로 물들어 장관을 이룹니다. 농촌에서는 벼, 고추, 콩, 고구마 등 주요 농작물을 수확하는 시기로 바쁜 손길이 이어집니다. 한로를 기점으로 차가운 북서풍이 점차 강해지며 겨울을 향한 자연의 흐름이 시작됩니다.
한로와 관련된 전통 풍습: 풍요를 기원하다
한로는 계절의 전환기이자 수확의 풍요를 기리는 중요한 시기로, 다양한 전통 풍습이 전해집니다.
- 차례 및 제사: 예로부터 농가에서는 한로 무렵에 조상께 감사의 마음을 담아 차례를 지내거나, 곡식 수확 후 조상신과 토지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는 한 해 농사의 결실에 대한 감사와 다가올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곡식 및 약초 건조: 한로에 말린 곡식과 약초는 영양이 풍부하고 약성이 강하다고 여겨졌습니다. 이 시기에 곡식을 말리거나 겨울을 대비해 한약재를 준비하는 가정도 많았습니다.
- 국화 활용: **'한로에 국화를 꺾어 귀한 손님을 맞는다'**는 풍습도 전해져 내려옵니다. 이는 가을의 대표 꽃인 국화를 수확해 차나 술(국화주)로 즐기며 건강을 기원하던 전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로에 즐기는 계절 음식: 가을의 맛과 영양
한로가 다가오면 가을의 제철 식재료들이 풍성하게 등장합니다. 이 시기에 즐기기 좋은 대표적인 음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어: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향과 맛이 깊어 가을 별미로 손꼽힙니다. 한로 무렵이 전어가 가장 맛있는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 단호박찜: 가을철 대표 영양 간식으로,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은 물론 비타민 A가 풍부하여 면역력 강화에 좋습니다.
- 무나물 & 배추김치: 시원하고 아삭한 맛이 일품인 무나물과 김치는 가을철 입맛을 돋우는 데 최고입니다.
- 굴전: 바다의 우유라 불리는 굴은 한로 무렵부터 제철을 맞아 싱싱한 맛을 자랑합니다.
- 국화주: 국화꽃으로 담근 술은 은은한 향과 함께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한로에 즐기기 좋은 전통주입니다.
이 시기에는 기력 보강을 위한 보양식도 많이 섭취되며, 따뜻한 국물 요리와 찬 바람을 막아줄 음식들이 인기를 끌게 됩니다.
한로 이후 절기 흐름: 겨울로 향하는 길목
한로가 지나면 바로 다음 절기인 상강(霜降)이 다가옵니다. 상강은 찬 기운이 더욱 강해져 서리가 내리는 절기로, 2025년에는 10월 23일입니다. 그 후 입동(立冬)을 거쳐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게 되며, 계절의 흐름 속에서 자연은 더욱 깊은 변화의 길로 들어섭니다.
따라서 한로는 단순히 추위의 시작이 아니라, 가을과 겨울의 경계선에 서 있는 중대한 전환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한로를 보내는 현명한 지혜
한로는 날씨 변화가 극명해지면서 면역력 관리와 보온이 특히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면 좋습니다.
- 외출 시 겉옷 챙기기: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에 대비하여 겉옷을 준비하세요.
- 감기 예방을 위한 수분 섭취: 따뜻한 물이나 차를 자주 마셔 몸의 수분을 보충해 주세요.
- 따뜻한 차와 제철 음식으로 체온 유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생강차, 유자차 등을 즐기고, 제철 음식을 통해 영양을 보충하세요.
- 충분한 수면과 휴식: 환절기 건강 관리에 있어 충분한 수면은 필수입니다.
또한 한로는 자연의 흐름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그 속에서 삶의 리듬을 조절할 수 있는 귀중한 절기입니다. 일상의 속도를 잠시 늦추고, 가을의 정취를 음미하며 계절의 풍요로움을 느껴보는 것도 한로를 보내는 현명한 방법입니다.
2025년 한로,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하며 건강하고 풍요로운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세시풍속과 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추석(秋夕)의 유래와 의미: 한가위 풍습 완벽 정리 (2) | 2025.07.25 |
---|---|
2025 추분(秋分) : 낮과 밤이 같은 날 (1) | 2025.07.24 |
백중(百中)이란? 음력 7월 15일 유래와 풍속 총정리 (2) | 2025.07.23 |
2025 백로(白露) 이야기 : 24절기 중 가장 낭만적인 가을의 시작 (1) | 2025.07.22 |
견우직녀가 만나는 칠월칠석, 그 유래부터 풍속·별자리·현대적 의미까지 (1) | 2025.07.21 |
더위 끝! 2025년 처서(處暑) 한눈에! 날씨·풍속·속담·먹거리까지 (1) | 2025.07.20 |
2025년 입추(立秋)는 언제? 뜻과 유래, 풍습에서 먹거리까지! (0) | 2025.07.19 |
2025년 가장 무더운 날은 언제? 7월 23일 대서(大暑)! (0) | 2025.07.18 |